세빛희님의 부동산 투자 강의를 보고 강의에서 나오는 저평가지역 찾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부동산 공부를 하면서 가장 막막했던 것이 지역선정입니다.
강의에서는 저평가지역을 조사해 지역선정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계속 3년 이상 상승하던 지역을 구매하게 되면. 상승 동력 떨어지기 때문에 유의하고 지역선정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저평가지역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사이트에 접속 후 함께 따라 하면서 꼭 직접 분석하는 연습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먼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 접속 후 전국주택가격동향이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1.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 > 전국 주택가격동향> 시도별 선택>10년 정도 설정
https://www.reb.or.kr/reb/main.do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부동산 조사, 관리&공시, 통계 전문기관.
www.reb.or.kr
왼쪽상단 시도별 상세지역선택에서 원하는 시도를 선택 후, 기간은 10년으로 설정해 줍니다.
처음에는 이렇게 많은 그래프들이 나오는데요
매매가격지수를 누르고 조회하면 지역별로 종합주택 매매가격지수가 뜹니다.
하지만 우리가 볼 것은 아파트이기 때문에 아파트 매매지수를 선택해 줍니다.
매매가격지수란 표준이 되는 아파트를 정해서 평균 지수를 만든 것, 지역끼리 변동의 기준을 보기 위한 지수입니다.
전국적인 매매가격지수의 흐름파악이 가능합니다.
원하는 지역을 클릭해 상승한 지 3년 이상이 지났는지 확인하면서 저평가지역을 확인합니다.
인근지역끼리 비교하는 것이 좋음으로 권별로 나누어 차트를 비교 후 지역을 나누어보았습니다.
안산시 상록구와 단원구의 고점 저점을 파악해 보았는데요.
두 곳 모두 22년에 고점을 찍고 아직 하락 그래프입니다.
아직 상승한 지 3년은 지나지 않은 모습입니다.
과천시 역시 큰 하락폭을 가지고 있지만, 21년 12월경 고점을 찍고 하락하는 시기다 보니 아직 3년이 지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지역을 잘 선정해서 매수하신다면 저평가지역 아파트를 매수할 수 있습니다.
10년간 매매지수 통해 변곡점 찾기
변곡점을 통한 매매타이밍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2020년 1월부터 미분양이 급감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드라마틱한 감소를 한다면 추후 상승할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
위 그래프를 통해 매매지수와 입주물량은 반대로 움직인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입주물량이 많아지면 매매지수를 하락하고 반대로 입주물량이 적어질 때 매매지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더 추가적인 사항을 위해서는 아파트실거래가 사이트 '아실'에 접속하시면 좋습니다.
아실에서는 하나의 지역의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더블체크를 통해 원하시는 지역에 대해 자세히 도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https://asil.kr/asil/index.jsp
아파트 실거래가, 분양정보, 매물, 부동산빅데이터 | 아파트는 아실
아파트 실거래가, 분양정보, 매매/전세/월세 매물, 입주물량, 미분양, 학군 등 부동산빅데이터
asil.kr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링크를 참고하셔서 공부하시면 도움이 되니 영상과 관련글을 참고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영상/글
https://www.youtube.com/watch?v=11bdE39nJAQ
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기초용어 이것만 알면 끝납니다
부동산 공부를 위해서 꼭 필요한 부동산 기초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언니네 복덕방 영상을 보고 개인적으로 내용을 추가해 정리한 글입니다.참고해 주세요.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111.todayharuyoung.com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린이 탈출기 2 : 부동산 계약과정,주담대,특례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부동산 어플 (0) | 2023.10.23 |
---|---|
부린이 탈출기 1 : 등기부등본 확인법 ,최우선변제금액,대출용어,부동산 세금 (0) | 2023.10.19 |
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기초용어 이것만 알면 끝납니다 (0) | 2023.05.10 |
자산과 부채의 진짜 의미(feat.부자아빠 가난한아빠) (0) | 2023.05.05 |
재테크 초보용어 #3 : 돈이 들어오는 통장이 있다? CMA 와 MMF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