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공부를 위해서 꼭 필요한 부동산 기초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언니네 복덕방 영상을 보고 개인적으로 내용을 추가해
정리한 글입니다.참고해 주세요.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자취나 집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꼭 한 번은 들어보았을 용어
임대인과 임차인의 관계부터 살펴볼까요?
임대인 임차인
임대인 : 임대를 해주는 사람(집주인)
임차인 : 들어가서 사는 사람(세입자)
아.. 아무리 기초용어라지만 너무 쉬운 것 같다고요?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임대인 임차인도 전대인 전차인은 무엇일까요?
잘 모르시겠다면..!
전대차라는 용어부터 먼저 알아봅시다.
전대차 전대인 전차인
전대차: 임차인이 제 3자에게 임차를 해주는 것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성진이라는 임대인이 있습니다.
그때 도운이가 임차인으로 성진이네 집에서 월세를 살기로 했습니다.
생각보다 도운이 공간이 너무 넓고 방이 많아서 원필이한테 방 하나를 내어줍니다.
그렇게 되면 도운이는 전대인, 원필이는 전차인이 됩니다.
건폐율 용적률 레버리지효과
건폐율:대지안에 얼마나 넓게 지을 수 있는가
용적률:대지안에서 얼마나 높게 지을 수 있는지
크고 높게 지으면 좋기 때문에 건폐율 용적률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레버리지 효과: 타인의 자본으로 더 큰 수익을 얻는 것
즉, 작은 자본이지만 타인의 자본을 이용하여 큰 효과를 일으키는 효과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대출이 있습니다.
담보대출 신용대출
그렇다면 대출은 담보대출 신용대출로 나누어지는데요. 용어는 간단합니다.
담보대출: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
신용대출: 개인의 신용을 기준으로 하는 대출
중도상환수수료
중도상환수수료 : 내가 대출을 받았을 때 중도에 갚게 되면 수수료를 내야 하는 것.
중간에 대출을 갚는데 왜 수수료를 내야 하는 걸까요?
은행은 대출이자로 돌아가기 때문에 빨리 갚게 되면 은행에게 좋지 않답니다.
그래서 대출을 빌린 사람이 중도에 갚으면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주담대 LTV DTR DSR
주담대 LTV/DTR/DSR 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더욱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정리해 두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eternal__g/223078619258
#1 부동산 초보용어 : 주담대, LTV, DTI, DSR, 부린이는 이것만 보면 끝!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려면 관련 용어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하는데요 오늘은 부동산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
blog.naver.com
이제 용어를 어느 정도 알았으니 부동산에서 자주 말하는 세금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세 양도세 비과세 임장
취득세: 취득했을 때 내는 세금
양도세: 집을 팔고 이익을 보았을 때 내는 세금
비과세: 과세를 하지 않는다. 즉, 돈 안내도 된다!
임장: 직접 부동산 현장답사를 가는 행동
지역명 및 세권
지역명(마용성, 노도강 등) 및 세권 (역세권, 숲세권 등)
내용이 많아서 포스팅에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았으니 꼭 읽어주세요!
https://blog.naver.com/eternal__g/223087422830
#2 부동산 초보용어 : 지역명+세권 부동산 줄임말 / 부동산은 'ㅇㅈ'가 제일 중요하다
안녕하세요 재테크 공부하는 이품크입니다. 부동산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사실은 줄임말을 많이 사용한다...
blog.naver.com
마지막으로 자주 사용하는 거주형태 용어들 중 가장 중요한 초품아를 소개하겠습니다
초품아
초품아 : 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
횡당보도나 신호등을 건너지 않고 학교를 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아파트를 의미합니다.자녀를 키우시는 분들이라면 초품아파트를 많이 선호하시기 때문에 인기가 많습니다.
부린이를 위한 다양한 부동산 기초 관련용어를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 공부를 할 때 사용하는 용어공부를 미리미리 해둔다면 추후 부동산 공부를 할 때 많은 도움을 얻으실 수 있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린이 탈출기 1 : 등기부등본 확인법 ,최우선변제금액,대출용어,부동산 세금 (0) | 2023.10.19 |
---|---|
세빛희 강의 부동산기초잡기 : 저평가지역 찾는 법 (0) | 2023.06.05 |
자산과 부채의 진짜 의미(feat.부자아빠 가난한아빠) (0) | 2023.05.05 |
재테크 초보용어 #3 : 돈이 들어오는 통장이 있다? CMA 와 MMF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23 |
미국주식 초보는 어떤 기업을 사야할까? (0) | 2023.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