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inimum-scale=1.0, maximum-scale=3.0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자산과 부채의 진짜 의미(feat.부자아빠 가난한아빠)

by 알정이 2023. 5. 5.
반응형

 

자산과 부채에 대해서 모두 간단하게 무슨 뜻인지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의 초보용어는 로버트기요사키의 책 부자아빠가난한아빠에서 나오는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참고했습니다.

 

 

기본 용어개념을 넘어서 책에서 주는 의미와 느낀 점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목차

 

자산과 부채

가난한 사람과 부자의 현금흐름

정리 및 느낀 점

 

자산과 부채

 

자산

자산은 우리에게 현금흐름을 만들어주는 수단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부동산 월세, 주식 배당금 등이 있습니다.

실거주 같은 경우에는 원리금 상환을 고려했을 때 부채이기도 하지만 이를 통한 월세나 시세차익을 보면 자산이기도 합니다.

 

 

구체적인 자산의 종류를 알아볼까요?

 

1. 소유자는 나지만 관리자는 다른 사람인 사업

2. 주식 및 채권

3. 부동산 저작권 등

 

 

부채

부채는 반대로 우리에게 현금흐름을 뺏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카드 할부금, 자동차 할부금, 보험 등이 있습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에서 로버트 기요사키는 주거용 부동산 역시 부채라고 말합니다.

 

 

 

 가난한 사람과 부자의 현금흐름

 

가난한 사람과 중산층의 현금흐름 패턴
부자들의 현금흐름 패턴

 

가난한 사람들과 중산층의 현금흐름패턴은 열심히 일을 하고 벌어들이 돈을 지출과 부채로 소비합니다. 이런 현금흐름 패턴을 계속해서 가져간다면 절대 경제적 자유를 이루지 못합니다. 수입을 모두 지출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자산 부분에 많은 투자를 통해 현금흐름패턴을 변화시켜야 합니다.

 

반면 부자들의 현금흐름 패턴은 다릅니다. 이미 축적되어 있는 우량자산에서 수입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주식의 배당금이나 부동산의 수입이 바로 그 예시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부자들의 현금흐름 패턴을 만들 수 있을까요?

 

그것은 바로 번 돈으로 부채가 아닌 자산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부자들은 시드를 모아 자산을 축적한 후 그 자산으로 다시 수입을 만듭니다.

 

 

 

 정리 및 느낀 점

 

 

정리

 

자산을 현금흐름을 만들어주는 것, 부채는 현금흐름을 뺏는 것 입니다.

 

모든 수입을 지출로만 사용하는 가난한 사람들과 달리 부자들의 현금흐름패턴은 수입이 들어오면 자산에 먼저 투자하며 돈을 키워나갑니다.

우리는 봉급생활자와 자영업자의 삶에서 사업가 투자가의 삶으로 변화되어야 합니다.

 

느낀 점

 

당신만의 사업을 시작하고 직장을 유지하면서 부채가 아닌 진짜 자산을 살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자산소득이 월급을 뛰어넘을 수 있는 그날까지 파이팅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