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inimum-scale=1.0, maximum-scale=3.0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임대주택 알아보기, 임대주택 기준

by 알정이 2023. 1. 22.
반응형

나라에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안정적인 주거환경제공을 위해 다양한 임대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2년 올해 마지막 청년 및 신혼부부 4차 매입임대주택도 진행했습니다. 많은 제도 중 사람들이 헷갈리는 청년매입임대주택과 청년전세임대주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청년전세임대주택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인 만 19~39세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기존 주택을 lh에서 전세계약하여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공공주택을 말합니다.

신청자격은 본인이 무주택자이면서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입학 또는 복학예정인 만 19세 미만 또는 만 39세 초과 대학생, 본인이 무주택자이면서 대학이나 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한 후 2년 이내 이고, 직장에 다니지 않는 만 19세 또는 만 39세 취업준비생. 본인이 무주택 자면서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인 사람, 즉 무주택 요건 및 자산기준을 충족한 청년은 청년전세임대주택 신청이 가능합니다.

1순위는 생계, 주거 의료수급자나 한부모가족 등 차상위계층 및 청소년들이며 2순위는 본인과 부모의 월소득의 평균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가구 소득 100퍼센트 이하이고 본인과 부모의 자산이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3순위는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00퍼센트 이하이며 본인의 자산이 행복주택 자산을 충족하면 됩니다.

 

최초 임대기간은 2년이지만 자격요건 충족 시, 2년 단위로 재계약 2회 총 6년 거주 가능합니다.

신청방법은 해당기간 안으로 lh청약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2.청년매입임대주택

lh에서 기존주택을 저렴하게 매입해 기존 전세 40프로에서 50프로 정도를 저렴하게 임대한 주택입니다.

무주택 요건이나 소득과 자산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가능합니다. 전세임대주택과 동일하게 임대기간은 2년이나 재계약으로 6년 거주 가능합니다.

청년들 주거에 필요한 냉장고나 세탁기 등 다양한 일상생활 제품은 비치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모집공고일 기준으로 무주택세대구성원만 지원 가능하며 동일한 시군구 중복 지원은 무효입니다. 취업준비를 위한 청년들에게도 좋은 정책인 것 같습니다. 타 지역 출신도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도시근로자 가구연수별 월평균을 참고해 지원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1순위 2순위 3순위 기준은 청년전세임대주택과 같습니다.

신청방법 역시 lh청약센터에서 신청가능합니다. 당첨이 된다면 보증금 전환제도로 월세를 낮추는 방법도 있습니다. 보증금을 증액하고 월세를 낮추는 제도인데 기존 월세에 비해 훨씬 저렴하게 월세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큰 강점이 있습니다.

보증금 전환제도는 한 번에 전환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살면서 목돈이 생긴다면 조금씩 올리며 월세를 낮추는 것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여유가 있으시다면 무조건 보증금 전환제도를 통해 월세를 낮추기를 추천드립니다.

 

이상 나라에서 지원되는 청년전세임대주택과 청년매입임대주택을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에 소득에 알맞은 기준을 확인하시고 신청하기 바랍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728x90

댓글